많은 분들이 놓치고 있는 고용안정 사업주 지원금
찾아보고 알아보면 나라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어요
해당되는 내용이 있는지 미리 한번 확인해보시고 신청해보세요
2025년 고용안정 사업주 지원 내용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주요 지원 프로그램
1.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대상: (기업) 사업참여 신청 직전 월부터 이전 1년간 평균 고용보험 피보험자수가 5인 이상인 우선지원대상기업 사업주
* 단, 지식서비스·문화콘텐츠·신재생에너지 산업, 청년창업기업, 미래유망기업, 지역주력산업, 고용위기지역 소재 기업, 특별고용지원업종 등은 1인 이상도 가능
(취업애로청년) 채용일 기준 4개월 이상 실업상태인 만 15-34세 청년
* 단, 채용일 기준 고졸이하 학력,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가입기간 1년 미만인 청년(채용일 기준 휴학 비롯 재학 중인자 제외), 고용촉진장려금 대상,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청년도전지원사업 수료자, 자립준비청년, 폐자영업자 등은 실업기간이 4개월 미만이어도 지원
-지원내용: 만 15~34세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유지 시 최장 1년간 최대 720만원 지원
-신설된 유형: 빈일자리 업종 기업에서 청년 채용 시 기업에 720만원, 청년에게 480만원 지원
2. 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
1. 육아휴직 지원금
-특례 대상(자녀 만 12개월 이하)에게 첫 3개월 월 200만원, 이후 9개월 동안 월 30만원 지원
-남성 육아휴직 인센티브: 사업장 내 남성 육아휴직 사례 1~3건당 월 10만원 추가 지원
- 근로자에게 육아휴직을 30일 이상 허용한 우선지원대상기업 사업주에게 근로자 1인당 월 30만원 지원
※ 특례 적용: 만 12개월 이내 자녀 대상 육아휴직을 3개월 이상 연속 허용한 경우 첫 3개월에 대해 월 200만원 지원(2022. 1. 1. 이후에 시작하는 육아휴직을 허용한 경우에만 적용)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 근로자에게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30일 이상 허용한 우선지원대상기업 사업주에게 근로자 1인당 월 30만원 지원
※ 인센티브 적용: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사업장에서 처음으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허용한 경우, 세 번째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허용 사례까지 월 10만원 추가 지원(1호~3호 인센티브)
대체인력 지원금
- 근로자에게 출산전후휴가, 유산·사산 휴가 또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30일 이상 부여하거나 허용하고 새로 대체인력을 채용한 후 30일 이상 계속 고용한 우선지원대상기업 사업주에게 대체인력 1인에 대해 월 80만원(업무 인수인계기간 월 120만원) 지원
* 출산전후휴가 등의 시작일 전 2개월이 되는 날 이후 새로 고용한 대체인력에 대해서만 지원
* 사업주가 지급한 임금의 80%를 한도로 지원
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근로자 1인당 월 30만원 지원
우선지원 대상기업에 월 10만원의 추가 인센티브 도입
4. 대체인력 지원금
월 최대 120만원으로 인상
육아휴직, 출산휴가, 근로시간 단축 등의 대체인력을 30일 이상 고용하거나 파견 시 지원
5. 업무분담 지원금 (신규)
육아휴직 또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발생한 업무를 분담하는 근로자에게 월 20만원 지급
분담자 1명당 최대 20만원, 최대 5명까지 지원 가능
6. 고령자 고용 지원
고령자 계속고용지원금: 정년 연장·폐지 또는 정년 도달 근로자 계속 고용 시 지원
고령자 고용지원금: 60세 이상 근로자 수 증가 시 인건비 일부 지원
기타 지원 프로그램
1. 워라밸일자리 장려금
전일제 근로자의 근로시간 단축 허용 시 지원
일·가정 양립 환경개선 지원: 유연근무제 도입·활용 기업 대상 지원
2. 고용유지 지원금
경영난으로 고용조정이 불가피한 사업주가 근로자 감원 대신 근로시간 조정, 휴업, 휴직 등 실시 시 임금 일부 지원
신청 방법
대부분의 지원금은 고용24(http://www.work24.go.kr) 포털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
사업장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기업지원부서)에 방문하여 신청 가능
일부 지원금은 분기별로 신청해야 하며, 신청 기한이 정해져 있으므로 주의 필요
주의사항
지원금 종류에 따라 지원 요건, 지원금액, 인원 등이 상이해요
일부 지원금은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어요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지원금을 받은 경우 제재 조치가 있을 수 있어요
이러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정부는 사업주의 고용안정 노력을 장려하고,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과 고용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어요